학과소식

20250109 생명과학과 김서연·고은지, AI분야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ChatGPT 교육 아이디어 경진대회에서 우수상 수상
작성자 : 생명과학과 전화번호 : 063-469-4581 작성일 : 2025-01-17 조회수 : 64
ChatGPT 교육 아이디어 경진대회 우수상

<ChatGPT 교육 아이디어 경진대회 우수상>

 2024년 1월 2일부터 1월 9일까지 진행된 국립대학 육성사업 공동 공학교육혁신센터 주관 ChatGPT 교육 아이디어 경진대회에서, 생명과학과 김서연·고은지 팀의 “AI 연구 동반자 챗봇(ResearchHelper)” 프로젝트가 우수상을 수상하였다. 이번 경진대회는 AI 기술의 실질적 활용 방안을 발굴하기 위해 마련되었으며, AI와 에너지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한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주요 평가 기준이 되었다.

 

 “AI 연구 동반자 챗봇”은 학술 연구자와 학생들이 쉽고 빠르게 논문을 탐색할 수 있도록 돕는 AI 챗봇 도구다. 이 도구는 PubMed와 같은 학술 데이터베이스와 연결되어, 사용자가 입력한 키워드에 따라 관련 논문 5편의 제목과 요약을 한글로 번역, 발행 연도, 감정 분석 결과, 논문 링크 등을 제공하는 혁신적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특히, 감정 분석 기능은 논문의 전반적인 톤과 방향성을 파악할 수 있어 연구자들에게 더 쉽고 빠른 통찰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큰 호평을 받았다.

 

 이번 경진대회에서 “ResearchHelper”는 아이디어의 독창성과 실용성, 시장성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심사위원은 특히 “챗봇의 활용 범위가 학계뿐만 아니라 산업계에서도 확장 가능하다”며 이 도구의 가치를 높이 평가했다. 김서연 학우는 인터뷰에서 “AI 기술이 학문적 장벽을 낮추고 연구자들이 더 많은 시간과 에너지를 본질적인 연구에 쏟을 수 있도록 돕고 싶었다”며, “이 도구가 학술 정보 탐색의 새로운 기준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번 경진대회는 단순한 기술 경쟁을 넘어, AI 기술이 실질적으로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ResearchHelper”는 이러한 경진대회의 취지에 부합하는 프로젝트로 인정받아, 국립대학 육성사업의 성공적인 사례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고은지 학우는 “AI 연구 동반자 챗봇은 앞으로도 학술 연구와 데이터 활용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키며, 연구자들에게 더 나은 학문적 환경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소감을 전했다.

현재 게시물의 이전글과 다음글로 이동할 수 있는 링크를 보여주는 표입니다.
이전글 20250103 2024학년도 전북‧제주 리빙랩 아이디어 경진대회, 김서연 학생 우수상 수상2025-01-17
다음글 20250205 생명과학과, 농생명융합기술센터 농생명유전자원 전문가 초청 강연 참석2025-02-05

공공누리KOGL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 허락
국립군산대학교 에서 제작한 "학과소식" 저작물은 "공공누리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 허락표시 적용 안함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 담당부서 : 생명과학과
  • 담당자 : 양찬미
  • 연락처 : 063-469-4581
  • 최종수정일 : 2018-01-02
국립군산대학교 학과소식 이동 QR코드
페이지만족도평가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